모커리 척추관절/척추관협착증,전방전위증

모커리한방병원, 협착증인데 한쪽 다리만 아픈 분들이 꼭 봐야 할 내용

모커리한방병원 2021. 11. 5. 14:31

안녕하세요. 모커리한방병원입니다.
MRI로 협착증 진단을 받았는데, 유독 한쪽 다리만 심한 통증이 있다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사실 이런 분들은 진짜 협착증 증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런 통증 위주의 증상들은 진짜 협착증 증상에 비해 일반적으로 치료가 더 쉽고 빠릅니다.
협착증 진단을 받으셨는데 한쪽 다리 통증 위주의 증상을 호소하시는 분들은 오늘 이 포스팅을 주의 깊게 보시길 바랍니다.

 

 


 

진짜 '협착증'이란?

보통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진짜 협착증, 척추관협착증이란 황색인대, 척추후관절, 디스크, 척추뼈 등 거의 모든 척추구조물들이 다 퇴행되어 이들이 척추관의 앞뒤, 측면 모든 방향에서 척추관을 좁아지게 만들어서 다리로 가는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 협착증의 가장 중요한 증상은 간헐적 신경성 파행 증상입니다. 간헐적 신경성 파행이란, 신경의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이 힘든 상태가 생겼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아프며, 중간에 허리를 숙이거나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좀 편해지기 때문에 걸었다 쉬었다를 반복하는 것이 특징이죠. 그래서 진짜 협착증으로 진단하려면 MRI상으로 척추관이 좁아진 것이 보임과 동시에 반드시 이러한 신경성 파행 증상이 나타나야 합니다. 


한쪽 다리 통증 위주의 증상은 진짜 협착증 증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저희 모커리한방병원에 내원하시는 분들 중 본인이 협착증으로 알고 있는데, 유독 한쪽 다리만 심한 통증이 있다고 얘기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진짜 협착증 증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한쪽 다리 통증 위주의 증상은 추간공협착증이나 디스크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간공협착증은 다리로 가는 척추신경다발이 눌려서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라 신경가지가 눌려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사실 이름은 협착증이지만 진정한 의미의 협착증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허리디스크와 비슷한 면이 많은 질환입니다. 이처럼 한쪽 다리의 통증을 주로 호소하는 추간공협착증이나 허리디스크는 진짜 협착증 증상인 신경성 파행 증상 및 다리 힘 빠짐, 다리 근육 위축, 다리 감각 저하 등의 증상에 비해 일반적으로 치료가 더 쉽고 빠릅니다. 

 

이런 통증 위주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경우는 침, 약침, 추나요법 등으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며 염증을 치료해주고, 허리의 피로를 완화하는 한약을 더해 디스크 치료하듯이 통증치료를 해주면 진짜 협착증 치료보다 더 빠른 기간 안에 통증이 잡힐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일 걸을 수 있는 상태라면, 입원집중치료가 필요한 진짜 협착증과 달리 통원치료로도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추간공협착증이든, 척추관협착증이든 치료 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어떤 질환이든, 치료 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척추질환 중에서도 진단이 매우 까다로운 편인데요. 왜냐하면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디스크, 후관절, 인대 등 대부분의 척추구조물이 퇴행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이 눌리면서 나오는 다리 증상 뿐만 아니라 디스크성 통증, 비특이적 요통, 근육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근육성 좌골신경통 등 굉장히 다양한 증상들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어떠한 특정 증상이 나타나면, 이 증상이 협착증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로 인한 것인지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협착증은 진단이 어렵고 까다롭습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척추관협착증의 다양한 증상과 진단의 까다로움>

그래서 협착증 진단을 할 때는 다양한 증상 중 진짜 협착증 증상을 감별하고, 더불어 MRI상으로 척추관의 구멍이 막힌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런데 MRI상으로 척추관이 좁아진 게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협착증이라고 진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척추관이 막혀있는데도 아프지 않은 사람들이 굉장히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요즘 발표되는 해외의 대규모 연구논문들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사람들 중 척추관이 막혀있어도 아프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최소 30% 이상 되는 걸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척추관이 막혀있어도 안 아픈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는 척추관의 공간이 막혀있으면서도 통증 위주의 증상, 예를 들면 한쪽 다리 통증, 허리 통증, 엉덩이 통증 등이 나온다면 이건 척추관이 막혀서 생기는 진짜 협착증 증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도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협착증 진단 시에는 MRI만 보고 진단하면 안 됩니다. 협착증 등 퇴행성 척추질환을 MRI만 보고 진단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보시면 됩니다.

 

<척추관협착증 MRI만 보고 치료하면 망할 수 있습니다>

모커리한방병원은 몇 걸음도 걷기가 힘든 말기 협착증도 수술 없이 치료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쪽 다리 통증 위주의 증상은 진짜 협착증 증상에 비해 치료가 더 쉽고 빠르다는 이야기를 했는데요.

만약 진짜로 척추관협착증이여도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모커리한방병원은 치료가 가장 어려운 말기 협착증도 비수술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모커리한방병원의 협착증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연구 결과가 있는데요. 바로 한방치료 이후 말기 협착증 환자의 평균 보행 거리가 치료 전 대비 11배 증가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것입니다. 이 연구는 환자를 한방치료군과 양방 비수술치료군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여 치료를 실시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로, 신뢰도가 매우 높습니다.  논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척추관협착증 치료 효과, 이런 논문을 못 믿으시면 무엇을 믿고 치료 받으시겠습니까?>

감사합니다 :)


 

 

본 컨텐츠는 모커리한방병원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해당 블로그 상의 글을 무단으로 복사하여 사용할 경우 법적인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본 글을 참고하실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시길 바랍니다.